농업,환경,생명,과학분야의 연구 수준 선진화
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는 기계, 전자, 컴퓨터, 나노기술 등 현대공학의 첨단 기술을 응용하여 농축산물 및 식품의 생산, 가공, 저장, 수송, 관리 등에 필요한 효율적인 기계, 전자시스템 및 시설 등을 연구 개발하는 응용공학으로서, 공학과 생물학 지식을 겸비한 고급 전문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미래의 생물생산과 농축산 및 식품 가공 산업 발전에 기여함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. 생물산업기계전공은 생물, 식품, 환경 등 인류에게 없어서는 안 될 생물자원과 밀접하게 관련된 독특한 응용공학이다.
본 전공은 무인작업, 컴퓨터 기계시각, 로봇공학, 자동제어공학, 바이오 재료공학 등 첨단과학기술을 농업에 기반을 둔 생물자원에 활용하여 지역사회와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학문분야이다.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는 현재 생물생산기계 분야, 생물가공시스템 분야, 생물생산시설기계 분야, 센서 미 바이오재료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생물생산기계분야에서는 GPS를 이용한 무인작업기계, GIS 지리정보를 이용한 정밀농업, 생물생산 관련 로봇, 노외차량공학, CAD/CAM 등과 관련된 분야를 연구 및 교육하고 있고, 생물가공시스템 분야에서는 첨단 센싱 시스템을 이용한 과일의 맛과 숙성도 측정, 육질 품질 판정기 등과 같은 비파괴 선별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농축산물 및 식품의 가공, 건조, 저장, 수송, 포장에 필요한 지식을 교육하고 있다.생물생산시설기계 분야에서는 원예 및 축산시설에 필요한 시설의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개발, 생물생산 환경제어를 위한 농업정보 데이터베이스화 및 IT기술 활용기술 등을 연구 및 교육하고 있다. 또한 센서 및 바이오재료 분야는 농축산물 및 식품에 잔존하는 유해물질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개발, 전자 코, 전자 혀, 인공지능을 이용한 생물영상처리기술, 홍합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만드는 등의 생체재료를 이용한 신물질 개발 등의 첨단 기술을 연구 및 교육하고 있다.
년도 | 내용 |
---|---|
1974. 03. 01 | 농공학과 농업기계전공 |
1977. 12. 31 | 농공학과의 농업기계전공에서 농업기계학과로 신설 |
1981. 03. 01 | 대학원 석사 및 박사학위과정에 농업기계학과 신설 |
1982. 12. 17 | 대덕캠퍼스로 이전 |
1985. 03. 01 | 대학원 석사 및 박사학위과정의 농업기계학과를 농업기계공학과로 명칭 변경 |
1999. 03. 01 | 농공·농업기계공학부 농업기계전공으로 학부제실시 |
2000. 03. 01 | 농공·농업기계공학부에서 농업공학부로 명칭 변경 |
2002. 10. 25 | 농학사를 공학사로 학위 명칭 변경 |
2007. 02. 23 | 학부 농학사 740명, 공학사 90명, 대학원 공학석사 50명, 공학박사 16명 배출 |
2004. 03. 01 | 생물자원공학부 생물산업기계전공으로 명칭 변경 |
2010. 03. 01 | 생물자원공학부를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로 분리 개편 |
졸업후 취업 분야는 관·민영 연구기관, 행정기관, 농업기계 생산기업과 농업기계중견기업, 각종공사, 건설회사 및 일반기계 관련기업, 식품관련회사, 국립·공립·사립대학 교원 및 중등교원등 교육기관으로 폭넓게 진출하고 있다.
건설기계기사, 일반기계기사, 농업기계기사, 공조냉동기계기사, 자동사검사산업기사, 가스기사, 폭발물관리기사, 소방설비기사, 정밀측정산업기사, 산업안전기사 등
교수명 | 학위명 | 전공 | 전화번호 |
---|---|---|---|
조병관 | 공학박사 | 비파괴 바이오센싱 공학 | 821-6715 |
정선옥 | 공학박사 | 생물생산작업기계 및 정밀농업 | 821-6712 |
이왕희 | 공학박사 | 바이오시스템 모델링 및 분석 | 821-6720 |
김용주 | 공학박사 | 농업동력 및 트렉터 | 821-6716 |
이승현 | 공학박사 | 농·식품 가공기계 | 821-6718 |
이대현 | 공학박사 | 농업메카트로닉스 | 821-6717 |